본문 바로가기

배터리 전쟁(2021)

by 로카텔리 2023. 5. 30.

배터리의 역사와 그 원자재가 되는 여러 원료의 분포와 그 상용 범주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사실 어렵다. 집중력을 많이 필요로 하지만 정보가 많아서 생각날 때 자주 읽어주면 괜찮을 것 같다.

읽는데 체력을 꽤나 요하기 때문에 오래 걸렸다.

 

9.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Inflation Reduction Act)

완제품, 부품, 물질 모두 미국이나 미국과 FTA관계인 국가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법안

2018년도의 셰일혁명은 미국의 석유매장량을 세계 1위로 만들었다.

 

12. 아마라의 법칙(Amara's Law)

사람들이 어떤 신기술에 대해서 단기적으로는 관심도가 높아져 고평가하고

시행착오를 거쳐 현실적 문제 인식으로 관심이 식어 저평가하게 되지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기술이 되는 것

주가가 단기적으로 크게 올랐다 떨어지지만 길게 보면 결국 계속해서 올라가는 분야의 주식을 생각하면 된다.

 

2차전지 관련주가 폭등하고 그 붐이 다시 사라졌다. 사실 그 붐이 오기 전에 이 책으로는 기술의 흐름만 읽을 수 있을 뿐이라 어떤 회사가 있는지는 잘 모른다. 우리에게 익숙한 회사 이름은 나오지 않기 때문이고 국가적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기술 흐름을 보기 때문이다.

 

서점에 가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아직 너무 크지 않은 분야를 읽어보는 것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국은 일찍이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에 대한 상용화를 시도했다. 미국에서 만든 전기차 볼트가 60km밖에 못가는 걸 보고 미국인들은 전기차를 외면한 사이, 중국은 새 분야를 오랫동안 연구했고 이제 빛을 보기 시작했다.

에너지밀도는 낮으나 안전성이 뛰어난 LFP(리튬인산염)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고, 개선되고 있다.

한국은 NCM(니켈코발트망간)방식의 배터리 연구가 주다. 에너지밀도가 높고 안전성이 떨어지지만 이 역시 개선되고 있다.

관련 내용은 <K배터리 레볼루션>에 나온다.

 

코발트는 아프리카의 콩고에 대부분 매장되어 있고 

리튬은 남미 지역에 많다. 볼리비아 아르헨티나가 리튬매장량 세계 1,2위 국가다.

리튬은 탄산리튬의 형태로 많이 거래되며, 탄산리튬을 만들기 위해서 엄청난 물이 사용된다. 리튬이 많이 들어있는 염호(소금호수)는 비가 적은 곳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물부족 국가에서 물을 많이 사용해야 하는 환경적 문제가 있다.

탄산리튬 100kg을 처리하는 데 15000kg의 염수가 사용된다. 이 100kg에 소금 한 스푼이라도 섞이면 모든 처리가 쓸모없는 일이 되어버린다. 5ppm은 물 1L에 티스푼만큼의 액체를 넣고, 다시 잘 섞어서 물 1L에한 스푼 첨가한 만큼의 농도이다. 그 정도의 농도 관리가 고품질의 리튬을 만드는 데 필요한 소양이다. 이 업계에 일하는 인력들도 성격부터 최적화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863계획 - 국가고기술연구발전계획(1986, 덩샤오핑)

중국의 863계획은 스스로가 현재 발전 중인 나라고, 과학적 노력을 분산할 수 없다고 인정하며 시작되었다.

전문성을 띠려면 하나에 집중력을 쏟아야 한다. 여러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이도저도 아니게 될 수 있다.

 

101. 일본이 영해를 침범한 중국어선의 선장을 구류, 중국에 사과 및 배상을 요구했으나 중국은 일본에 희토류 수출을 막는 것으로 응수했다.

세상은 정의롭지 못하다. 국가 단위의 소통인데도 자국의 이득을 위해 부당한 일은 사과하지 않고 타국의 정당한 권리를 희생시킨다.

경제적 지위는 파이프라인이 많을 수록 안정적이며, 하나뿐이라면 분명 플랜 비를 모색해야 한다.

 

배터리는 인내를 필요로 한다. 18개월마다 프로세서의 트랜지스터가 2배로 집적된다는 무어의 법칙은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발전의 속도와는 맞지 않다. 배터리 무게 문제는 항상 거론된다. 전기비행기 시험비행도 성공했지만 상용화 가능성은 아직 알 수가 없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시스템(2020)  (0) 2023.06.01
불편한 편의점 2(2021)  (0) 2023.05.31
야왕(2003~2010)  (1) 2023.05.27
개미 5(1996)  (0) 2023.05.21
불편한 편의점(2021)  (0) 2023.05.17

댓글